최종편집일 2023-06-09 17:15
[번안시조] 수면을 스치며 한 겹 바람이 슬며시 불어오네(蓮池): 삼연 김창흡
[번안시조] 오늘밤에도 방랑시인은 어느 산에서 자고 갈까( 贈友 ): 창계 임영
[번안시조] 바람과 이슬만이 이 밤을 차갑게만 하는구나(水鍾寺)
[번안시조] 속세의 힘 있는 사람도 가히 두렵지 않다네(怪石): 최송설당
[번안시조] 행여나 진흙 속에도 그 향기가 모두 배였을까(小池荷香) : 송곡 이서우
[번안시조] 은은한 한가락이 아득한 뱃노래로 소리 들리네 : 江村夜興 / 석문 임규
[번안시조] 내 평생동안 저 명산을 차마 저버리려 했었구나(金剛山次金西原韻): 우암 송시열
[번안시조] 섬돌 앞 꽃 그림자 붉은 빛이 뚝뚝 떨어지네(小圃弄群芳): 동토 윤순거
[번안시조] 한 곡조 고운 노래 나 혼자 미친 듯 읊어보네9樂書齋偶吟) : 고산 윤선도
[번안시조] 흰 물꽃이 뒤집히면서 철썩거리는 저 벽파정!(珍島碧波亭): 계곡 장유
[번안시조] 한 줄 쓰는데 설음에 목 메여 만 번을 울먹였네(付書瀋陽) : 북저 김류
[번안시조] 손으로 책을 펼치고 어린 손자를 가르치네(題宋明府幽居) : 동악 이안눌
[번안시조] 푸른 언덕 뒤엎고 내닫는 것쯤이야 문제이런가 : 漫題 / 수은 강항
[번안시조] 장군 기개 향하는데 이르러 이 가슴에 부어볼까(到穩城) : 농포 정문부
연이 살고 있고 물이 고여 있는 곳을 연못가라고 했다. 그러나 물이 고여 있는 조그마한 곳이면 두루 연못이라고 하고 있다...
어느 산 어느 구석을 다녀와서 친구에게 문안을 여쭙는 것을 일상화했던 모양이다. 낯선 곳이나 기암괴석이 있는 산행을 했다...
멀리 두물머리가 한 눈에 내려다 뵈는 운길산(雲吉山) 맑은 곳에 흰 구름 위에 쓸쓸한 절 집 하나가 보인다. 아름다운 수...
마당 한 구석에 커다란 돌덩이 한 개가 있었다. 키는 한자쯤 되는 돌이 우뚝하게 솟아 깡마른 모습을 했다. 시인은 늘 가...
저녁 식사를 마친 마을 사람들은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연못을 찾는다. 봄에 발아한 연잎이 제법 새잎을 깃을 세우더니만, ...
삼천리 금수강산이라 했다. 어디를 가나 정취가 곱고 아름다운 곳이 우리나라 대한민국이다. 맑은 공기에 기름진 옥토, 순...
우리의 명산 금강산을 두고 많은 이들이 노래를 음영했다. 때로는 달래도 보고, 때로는 울려도 보았다. 꾸지람도 해보고, ...
가을이 돌아오면 온갖 풀들이 추위를 견지 못해 온 몸을 바르르 떤다. 그리고 조용한 휴식에 들어간다. 긴 땅 속의 개구리...
평소 아끼는 물건이나 거처했던 곳은 사람의 정을 도탑게 한다. 사람은 귀소성(歸巢性)이 있다. 연고가 있는 곳을 자주 가...
성웅의 지혜에 의해 대승을 거둔 벽파정의 승리를 두고 요즈음 말로는 전승지(戰勝地)라고 한다.
멀리 떠나 있는 사람에게, 쉽게 만날 수 없는 사람에게 편지를 쓴다는 것은 여간한 정성이 없다면 보내기 어렵다. 큰마음을...
다른 사람의 시에 보인 운자를 따서, 시인의 새로운 생각과 시적인 구성으로 달리 시를 짓는 일을 [차운(次韻)한다]고 한...
일본이 우리를 침범한 횟수만도 헤아릴 수 없다. 인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수많은 목숨이 나라를 위해 바쳐졌다. 어떤 이는 ...
우리 선현들이 쓴 시를 읽으면 큰 기상이 숨어있음을 발견한다. 백두산에 칼을 갈고, 두만강 물에 말을 먹이겠다는 시도 그...
학성초, ‘인문고전 독서마라톤’
성암초, 학부모 동아리 목공 수업 운영
이재선 농어촌공사 진천지사장, 마약범죄 예방캠페인 동참
금구초, “한국잡월드에서 나의 진로를 알아봐요”
백곡초, ‘숲속 작은 책방 ’서점 나들이
초평초,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 실시
학성초, 생태탐사 프로젝트 수업 진행
초평초, 흡연 예방 교육 실시